본문 바로가기

pm스터디5

[PM 스터디 4주차] HOOK 만들기- 유저의 습관을 독점하기 (네이버 지도 분석) 저번시간에 배운 'Hook' 모델을 기반으로 우리가 매번 사용하는 앱에 대한 많은 고민을 해보았고, 이제는 '지도 앱'없이 아무데도 못돌아 다니는 우리의 모습을 보며 지도앱의 대표주자인 '네이버 지도' 서비스를 분석해보았습니다. Q1. 선택한 '매일 쓰고있는 앱'은 무엇인가요? 🍤 네이버지도 Q2. 선택한 서비스를 사용하는 트리거(Trigger)는 무엇인가요? Q2-1) 앱 사용중이 아닐 때 외부 트리거 네이버지도 안의 다양한 서비스 및 이벤트 혜택 알림 2. 내부 트리거 지도앱이 없다면 길을 찾지 못하는 멍청해져버린 사람들...😥 버스, 지하철 실시간 도착정보를 알고 싶은 사람들 내 주변에 편의점, 은행 등등 특정장소가 있는지 찾고 싶은 사람들 Q2-2) 앱 사용중일 때 외부 트리거 특정 목적지 도착 .. 2021. 1. 20.
[PM 스터디 4주차] HOOK 만들기- 유저의 습관을 독점하기 (학습내용) "비타민을 진통제로?" 이번에 스터디에서 공부한 것은 서비스가 비타민 같은 존재인지, 진통제같은 존재인지 입니다. 소비자에게 없으면 안되는 제품을 '진통제'로, 없어도 살 수 있지만 있으면 좋은 제품을 '비타민'에 비유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과거를 돌아보면 지금 진통제 같은 서비스들도 과거에는 비타민 같은 존재였던 서비스들도 많습니다. 지금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네이버 포탈 같은 경우도 과거에는 우리에 삶에 이렇게 까지 침투하리라 예상하지 못했던 서비스가 아닐까 싶습니다. 실제로 하루 평균 인스타그램은 사용시간은 56분, 페이스북은 35분입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실제로 사람의 행동 중 40%는 의식하지 않고 나오는 습관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유저가 오래 머무르고 습관처럼 사용하는 서비스를 만도는.. 2021. 1. 20.
[PM 스터디 3주차] Easy to Use - 사용하기 쉽게 만들어라. (구글번역) 저번시간에 배운 서비스의 사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법에 따른 기업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파파고는 정말 쉽다! 라는 생각을 가지고 바로 선정하게 되었지만 Bad 예시를 찾기 힘들었는데 다행스럽게도 비슷한 분야의 구글 번역은 약간 아쉬운 부분은 있어 bad 예시로 가져와 보았습니다 :) 🍕 비교 서비스 파파고 vs 구글번역🥊🥊 🍕 비교 세부 주제 파파고와 구글번역의 번역기능 Q1. 내가 찾은 'BAD Usability' 의 예시는 무엇인가요? 🍕 구글번역 Q2. 어째서 'Bad Usability'를 보여준다고 생각했나요? 1. 모바일 환경은 공간 구성이 핵심 이제 pc 보다 모바일 환경을 선호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마늠 모바일 앱들이나, 모바일 웹페이지등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 된 서비스들이 많이 등.. 2021. 1. 20.
[PM 스터디 2주차] UX WRITING - 쓰기쉬운 말이 아니라 이해하기 쉬운 말을 하라 (에어비앤비/놀이의 발견 분석) "쓰기쉬운 말이 아니라 이해하기 쉬운 말을 하라" 구글 UX writer을 '사용자가 목적을 쉽게 달성하도록 돕는 카피를 작성하여 디자인고 제품의 경험을 향상시키는 역할'이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이처럼 '사람들이 서비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정한 행동 (결제, 회원가입 등)을 유도하거나 가이드를 제공하고, 더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입니다. UX Writing에서 중요한 원칙 3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명료성 누구나 쉽게 이해가 가는 카피, 복잡하고 꼬여있는 말보다는 내가 지금 뭘 말하려 하는지 어린아이도 이해가 되게끔 카피를 만들자! 2. 간결성 필요없는 내용을 싹~ 빼고 짧은 순간동안 핵심을 전달하는 것 유저는 빠르게 스캔하듯이 내용을 파악하기 때문에 어떻게 간결하지.. 2021. 1. 18.
[PM 스터디 1주차] 고객을 아는 것이 시작과 끝이다. ( 앨리스코딩 분석 ) 드디어 PM 직무에 대한 스터디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설레는 마음이기도 하면서, PM은 어떻게 성장해 나가야 될지 같은 꿈을 꾸는 사람들과 함께 나누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작성해 봅니다.🙏 " 고객을 아는 것이 시작과 끝이다 "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프로덕트(=제품, 서비스 등)의 총 책임자인 PM/PO가 신경써야 할 가장 핵심적인 role 중의 하나입니다. 서비스 자체를 잘 만드는 것 만큼이나, 그걸 사용해줄 고객들을 우리 서비스에 계속 머무르게 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학습 과정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1. 유저 리서치를 통해 사용자 파악 사용자(user)에게 더욱 편리한 프로덕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그들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2. 페르소나 만들기 페르소나는 원.. 2021.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