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어이해3

자연어의 의미 이해 방법 Semantics 1. 자연어는 동일하더라도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위의 예와 비슷하게 '고양이'라고 했을 때 실제 동물 고양이일 수도 있고 '고양이'인형일 수도 있다 이럴 경우에 주변의 단어들의 조합으로 그 단어의 의미를 유추 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의 의미일 경우 '고양이 밥 언제 줘야해?', '고양이 왜이렇게 살쪗어?'등의 문장이 나올 것이고, 후자의 의미라면 '나 이번에 고양이 인형 사줘',혹은 '고양이 캐릭터는 어디 진열되어있죠?'등일 것이다. 이렇게 비슷한 의미를 가지는 단어들 주변에는 동시에 비슷한 단어들이 올것이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이를 매트릭스 형태로 변경해 볼 수 있다. 2.일반적인 방식 1) From a word-context matrix of count.. 2022. 1. 3.
자연어의 특징 1. 자연어 분석 단계 1) 화용론 : 화자의 진짜 의도 2) 의미론 : 문장의 의미 * 특정 도메인에 대한 지식 -> 의미 사전이 필요함 *같은 의미 표현에 대한 정규화 다만 대화 상황에 따라 그 의도가 달라질 수 있음! 따라서 대화 상황에 대한 지식이 필요함 3)구문론: 문장의 구조 * 형태소 : 뜻을 가지는 가장 작은 말의 단위 2. 자연어의 특징 1) 합성성 위의 예시 처럼 명사 구문이 하나의 명사부분에 들어갈 수 있다는 점에서 합성성을 가짐 2) 비합성성 관용적인 표현으로 구성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좋은 날'같은 경우는 조합으로 생각 하면 안됨. 3) 생략 의미를 내포하고 있거나 관용적으로 쓰이기 때문에 생략이 되는 경우가 많음 4) 모호성과 불확실성 아이유 노래 라고 했을 때 두가지로 .. 2022. 1. 3.
자연어 이해 기술이란? (NLU) 1. 자연어 이해 기술 기계가 사람의 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기계는 사람의 말을 특정 기호로 여긴다. 따라서 기계가 사람의 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자연어 이해 기술의 목적은 가장 인간 같은 기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 뢰브너 상 튜링테스트를 통해 가장 인간적인 컴퓨터를 선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창안된 뢰브너 상은 역설적이게도 '가장 인간적인 인간'을 선발하기에 이른다. 직접 보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정확히는 화면에 표시)만으로는 기계와 인간의 구별이 모호해진다. 진짜 인간의 대답도 기계의 대답으로 간주되는 현상이 생기면서 제한된 조건에서 가장 인간적인 인간을 뽑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 된 것이다. 뢰브너 상 수상자를 선정하는 대회에서는 다양한 주제를 가지.. 2022. 1. 3.